데브코스 백엔드과정 최종프로젝트 후기
·
후기
프로젝트 기획최종프로젝트는 이전 1~3차 프로젝트와 다르게 백엔드과정 교육생과 프론트엔드 과정 교육생들이한팀을 이뤄 프로젝트를 진행했다.팀을 모집하는 것 부터 아이디어를 기획하고 실제 개발이 들어가는것도 모두 자발적으로 진행됐다.아이디어 기획이번 프로젝트의 핵심 아이디어는 블라인드 입찰이었다. 이미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는 동네기반 중고거래 플랫폼인 당근에블라인드 입찰 요소를 추가한 서비스를 기획했다. 일반적으로 더 이상 높은 금액으로 입찰을 원하는 입찰자가 존재하지 않을때까지계속 진행되는 경매 방식과 다르게 우리 서비스는 마감기한이 존재하고 해당 마감기한이 끝났을 때가장 높은가격으로 입찰한 구매희망자와 판매자를 연결해주는 방식으로 기획했다. 프로젝트 시작프로젝트 마감 기한까지 남은 시간은 대략 한달..
데브코스 백엔드과정 3차 프로젝트 후기
·
후기
[Project]데브코스 백엔드과정 2차 프로젝트 후기프로젝트를 시작하며지금까지는 혼자서 하는 토이 프로젝트를 제외하고는 팀과 협업하는 프로젝트에서 백엔드를맡아 개발한 적이 없었다. 아무것도 없는 백지상태에서 무언가를 설계한다는constant1601.tistory.com 데브코스 3차 프로젝트는 지난번 진행했었던 2차 프로젝트의 코드를 자바에서 코틀린으로 마이그레이션 하는 프로젝트였다.하지만 2차 프로젝트와 3차 프로젝트 사이에는 코틀린을 학습하는 수업이 있었기 때문에 코어 타임에는 코틀린을 학습하고, 이후 저녁 시간에는 2차에 진행한 프로젝트를 좀 더 디벨롭할 수 있는 약간의 시간적 여유가 있었다.  추가적으로 개발한 것이 기간동안 팀원들과 논의 후 새로운 홈 화면을 개발하기로 했다. 기존의 서비스에서..
Embeddis Redis 적용하기(feat. M1)
·
Project
진행하던 프로젝트에서 실시간 인기 게시글을 조회하는 기능을 redis를 통해 구현하였다.하지만 팀원분중에 로컬에 redis가 설치되어 있지 않았던 팀원 분이 계셔서 처음에는 도커를 이용하여 환경을 구성할까 하였지만 다른 팀원분이 Embedded Redis라는게 있다는걸 알려주셔서 적용해보았다. Embedded Redis란?로컬에 별도의 redis를 설치하지 않고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Redis를 실행할 수 있다.보통은 로컬 개발 환경이나 테스트 환경에서 많이 사용된다.프로젝트에서 팀원이 redis가 설치되어 있지 않더라도 Embedded Redis를 사용하면clone 받아 실행하기만 하면 redis가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실행된다.  build.gradle// redis 의존성 추가implementation..
도커(Docker) 알아보기
·
Infra
도커란?간단히 말하면 도커란 애플리케이션을 패키징 할 수 있는 툴이다.컨테이너에 애플리케이션과, 의존성, 환경설정등을 하나로 묶어서 서버와 같이 로컬과 다른 곳에 쉽게 배포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게 한다.도커를 사용하는 이유?만약 nodeJs를 이용하여 서버를 만들었다고 한다면 로컬에서 작업한 코드를 서버에 올리는 것만으로는 서버를 구동할 수 없다.오른쪽 그림과 같이 다양한 라이브러리들, 설정, 의존성등 서버를 구동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것들을 로컬과 동일하게 서버에도 구성해줘야 한다. 동일하게 환경을 구성했다고 생각했지만 막상 로컬과 서버에 구성해 준 환경이 버전이 맞지 않아 제대로 동작하지 못하는 경우도있기 때문에 직접 서버에 로컬과 동일한 환경을 구성해서 서버를 구동한다는 것은 매우 번거로운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