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nit5, AssertJ 단위 테스트하기(given, when, then)
·
Practice
테스트와 TDD(Test Driven Development)Test란?테스트란 개발된 코드가 기대한 대로 동작하는지 검증하는 일련의 과정이다.테스트를 통해 버그를 사전에 방지하고, 코드의 신뢰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일 수 있다.테스트에는 유닛 테스트constant1601.tistory.com지난번에는 테스트란 무엇인지 그리고 TDD는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봤다.이번에는 JUnit, AssertJ, Mockito가 각각 무엇이고 이걸 사용해서 어떻게 테스트코드를 작성하는지 알아보자. JUnit과 AssertJJUnit은 자바 애플리케이션의 단위 테스트를 작성하고 실행하기 위한 대표적인 테스트 프레임 워크이다. @DisplayName, @BeforeEach, @AfterEach 등의 어노테이션을 통해테스트 실행 ..
HTTPS 적용하기(feat. SSL For Free)
·
Practice
서버 도메인 붙이기AWS에서 백엔드 서버와 데이터 베이스 서버 연결하기프론트엔드 백엔드 서로 다른 서버로 수동 배포하고 연결하기(feat. CORS해결)프론트엔드가 포함된 백엔드 프로젝트 수동 배포하기AWS EC2 nginx에constant1601.tistory.com지난번에 도메인을 구입하고 서버에 도메인을 붙여봤다.오늘은 HTTPS를 적용해 보려고 한다. 이전에 도메인을 연결해 놓은 페이지를 보면 주의 요함이라는 경고가 뜨는 것을 볼 수 있다.이는 HTTP를 사용했기 때문에 발생할 수 있는 보안 취약점에 대한 경고이다.(중간자 공격, 스니핑 등) 이를 보완하기 위해 HTTPS(HTTP에 데이터 암호화가 추가된 프로토콜)을 적용해 보았다.HTTPS를 적용하는 과정을 간단히 보자면 위와 같다.2단계인 S..
서버 도메인 붙이기
·
Practice
AWS에서 백엔드 서버와 데이터 베이스 서버 연결하기프론트엔드 백엔드 서로 다른 서버로 수동 배포하고 연결하기(feat. CORS해결)프론트엔드가 포함된 백엔드 프로젝트 수동 배포하기AWS EC2 nginx에 프론트엔드 정적 배포EC2에서 nginx에 정적으로 파일constant1601.tistory.com이번에는 nginx가 설치되어 있는 EC2 서버에 도메인을 붙여봤다.일반적인 서비스들은 우리가 직접 ip주소를 입력해 들어가지 않고도메인 주소를 사용해 접속한다. 아주 간단하게 보자면 위의 그림과 같다.브라우저에 naver.com 이라는 도메인을 검색하면 이를 DNS서버에 전달하여실제 네이버의 ip주소를 받아오게 된다. 이후 받아온 ip 주소로 접속하여서비스를 이용한다. 이건 아주 간단하게 알아본 것이..
AWS에서 백엔드 서버와 데이터 베이스 서버 연결하기
·
Practice
프론트엔드 백엔드 서로 다른 서버로 수동 배포하고 연결하기(feat. CORS해결)프론트엔드가 포함된 백엔드 프로젝트 수동 배포하기AWS EC2 nginx에 프론트엔드 정적 배포EC2에서 nginx에 정적으로 파일을 올려 프론트엔드 프로젝트를 배포하는 방법을 강의를 듣고 따로 찾아보constant1601.tistory.com지난번에는 프론트엔드, 백엔드를 각각 수동으로 다른 서버에 배포하고 서로 연결하여 CORS를 해결해 봤다.이번에는 데이터베이스 서버가 있을 때 이를 백엔드 서버와 연결하는 방법을 알아보자.데이터베이스의 경우 RDS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번에는 EC2에 직접 MySQL을 설치하여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사용했다. 개발을 할 때와 운영서버에 올렸을 때 서로 다른 DB를 쓰는 경우에 Spr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