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와의 통신이 필요 없고
단순히 프론트엔드만 있는 프로젝트를 곧바로 url로 보여주고 싶을 때
사용할 수 있는 아주 쉽고 빠른 방법이 있어 실습해 봤다.

먼저 github에서 public으로 repo를 하나 생성해 준다.
private로 하면 이후 단계에서 사용이 불가하니 꼭 public으로 해야 한다.

생성이 된 후 리포에 들어오면 이런 화면을 볼 수 있다.
여기서 . 을 누르면 편집이 가능한 dev 화면으로 넘어갈 수 있다.

해당 화면에서는 vscode처럼 파일을 생성하고 편집할 수 있다.

간단하게 index.html 파일을 만들어준다.

해당 페이지에서 곧바로 commit 메시지를 입력하고 커밋 및 푸시를 할 수 있다.

푸시가 정상적으로 되면 repo에서 index.html파일의 경로 url을 복사한다.

raw.githack 사이트에 들어가 복사한 index.html의 링크를 가운데에 넣어준다.
그러면 아래쪽에 production과 development 링크가 나오는데
이중 production url의 링크를 복사하고 주소창에 입력하면

위와 같이 아주 쉽고 빠르게 프론트엔드만 있는 프로젝트를 url로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배포할 수 있다.
하지만 이 방법은 백엔드가 있는 프로젝트는 사용할 수 없고
raw.githack 사이트에 의존해야 하기 때문에
안정성이 중요치않고 프론트엔드만 존재하는 프로젝트에 적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Practi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버 도메인 붙이기 (0) | 2025.03.07 |
---|---|
AWS에서 백엔드 서버와 데이터 베이스 서버 연결하기 (0) | 2025.03.06 |
프론트엔드 백엔드 서로 다른 서버로 수동 배포하고 연결하기(feat. CORS해결) (0) | 2025.03.05 |
프론트엔드가 포함된 백엔드 프로젝트 수동 배포하기 (0) | 2025.03.05 |
AWS EC2 nginx에 프론트엔드 직접 배포하기 (0) | 2025.03.04 |